오늘은 원격 데스크톱 설정에 대한 내용을 적어보려고 한다.
코로나로 인해 재택 근무가 만연한 요즘 원격은 필수라고 생각한다.
원격 프로그램 중, 팀뷰어 등이 있지만 윈도우에서 제공해주는 원격 데스크탑은 당연 강력하게도 좋다.
팀뷰어의 경우, 중간에 재실행되면서 비밀번호가 바뀌거나 버전이 맞지 않으면 연결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나는 가끔 고향으로 내려가는 만큼 고향에서 작업을 하기 위해 내 데스크탑으로 원격을 연결해야할 필요성을 느꼈다.
물론, 회사 컴으로는 원격이 잘되는데, 컴퓨터를 잘 세팅해주기 때문이 아닐까??
그래서 옛날에 했던 기억을 토대로 원격을 해보려니 안 된다...
구글링을 열심히 해본 결과 다음과 같은 방법을 이용해서 해결했다..
1. 고정 아이피 설정
고정 아이피 설정을 하는 이유는 공유기 환경에서 고정적인 아이피를 할당 받기 위해서이다.
공유기가 없다면, 해당 사항이 없는 내용이다.
공유기에 연결하면 공유기에서는 네트워크 영역과 호스트 영역에 나누는게 되고, 서브마스크에 의해서 해당 영역의 넓이가 나뉘게 된다.
쉽게 말하자면, 192.168.219 가 네트워크 영역이라면, 192.168.219.x <= x 에 해당 하는 친구는 호스트 영역이라는 것.
호스트 영역은 우리가 사용할 수 있는 영역으로, Wifi 로 연결될 때마다 1씩(?) 증가한다. ( 1씩이 아니라 랜덤하게 증가할 수 있음, 사실 잘 모르겠다. 궁금하면 찾아보시길)
즉, 할당받는 ip 가 연결된 기기들에 의해서 또는 공유기 마음대로(?) 바뀔 수 있는 것이다.
사실 정확하진 않다.
하지만, 중요한 사실은 공유기가 가설해주는 호스트영역의 주소는 바뀔수도 있다는 것이다.
제어판 > 네트워크 및 인터넷 > 네트워크 및 공유 센터 > 어댑터 설정 변경
나는 VMWare 를 사용하기 때문에 3개가 나왔는데, 아마 랜카드가 하나라면( 여러개 꽂을수도있나?) 이더넷이 한개만 나올 것이다?
여튼 나는 이더넷을 우클릭해서 속성에 들어간다.
인터넷 프로토콜 버전4 더블 클릭
다음 IP 주소 사용으로 아래 사진과 동일하게 한다.
IP 주소 같은 경우는 원하는 걸로 사용하면 된다.
일단 위의 설정의 기반은 다음과 같다.
먼저, 호스트 이름이 현재 컴퓨터 이름과 같은 것이 내 Window IP 구성이다.
맞는 것을 찾았다면 아래를 보자.
기본 게이트 웨이와 서브넷 마스크, DNS 서버의 정보를 찾아서 위에 다가 그대로 넣어준게 바로 1번 사진이다.
그리고 2번 사진의 IPv4 주소가 192.168.219.210 인 것은 1번 사진의 설정을 하고나면 강제로 1번 사진에서 설정했던 IP 로 바뀐다. 바꾸려고 설정한 IP가 192.168.219.210 여서 이걸로 바뀐 상태다.
2. 포트포워딩
포트포워딩을 하는 이유는 아까 말했듯이 공유기가 IP 를 가설해준다고 말했다.
그리고 가설 얘기 전에 네트워크 영역과 호스트 영역에 대해서 말했는데.
네트워크 영역은 하나의 네트워크 망을 형성하고, 호스트 영역에 IP 를 가설해준다.
네이버에서 내 ip 를 검색해서 나온 10.11.11.11 로 접속할 때, 실제 이것은 내 컴퓨터의 IP 가 아니다.
공유기의 IP 가 될 것이다. 따라서 외부망에서 공유기까지는 잘 왔는데, 내 컴퓨터로 들어와야할 것이 아닌가..
공유기는 호스트 영역에 IP 를 마음대로 만들기 때문에 어떤 것이 내 컴퓨터인지 알 수 없다.
따라서, 포트포워딩을 통해 이 아이피는 내 컴퓨터야... 라고 알려줄 수 있는 것이다!!!
여튼...
원격데스크톱 포트포워딩이라는 키워드로 구글링하면 정말 많이나온다.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uzea&logNo=50192663318
[windows] 원격 데스크톱 연결, (포트포워딩 개념 및 설정)
1. 원격 데스크톱 연결 - 윈도우의 원격 데스크톱 기능 연결을 이용하면, 외부에서 해당 PC로 접속하여 ...
blog.naver.com
위의 사이트를 참고하자.
1번 과정과 2번 과정이 위 사이트에 포함되어 있어 참고해도 좋다.
여튼, 자신에 맞는 IPTime 이나 lgU+ 공유기로 로그인해서 아래 처럼 포트포워딩을 설정한다.
3389 포트는 원격 데스크톱 포트라고 하니 맞춰 설정한다.
만약, 192.168.219.99 로 고정 아이피를 설정했다면 내부 IP 주소를 192.168.219.99 로 설정한다.
3. 원격을 사용할 계정 추가.
이 부분이 제일 중요한데... 접속하고자 하는 사용자 계정을 무조건 추가해야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밀번호가 맞지 않아 접속이 안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잠금 화면 푸는 비밀번호가 1234 라서, 원격 접속할 때 1234 넣으면 안되는 경우가 있다.
내 경우가 그랬음..;;
물론, 아닌 경우가 있음.
아래 링크는 윈도우 비밀번호가 계속 틀리는 경우에 진행한다.
Windows 원격 접속시 암호 번경 설정, (처음 로그온시 암호 변경 설정)
제 경우는 Visual Svn 을 계정별로 관리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SVN 에 최초 접속시 비밀번호를 변경하도록 하고 싶었으나 Visual Svn 에는 해당 기능이 없었습니다. 관리자가 임의의 암호를 부여 해 줄
kaylab.tistory.com
제어판 > 시스템 및 보안 > 원격 엑세스 허용
위 처럼 체크를 해준다.
이 컴퓨터에 대한 원격 지원 연결이 허용 되어야 당연히 이 컴퓨터로 원격이 될 것이다..
사용자 선택을 눌러서, 원격에 사용할 사용자를 넣어줘야 원격이 된다.
아래 사진은 왼족에서 오른족으로 진행한다.
추가 > 고급 > 지금 찾기
DESKTOP-ABCD <= 이것처럼 뜬 애들 중 하나를 고른다.
그러면 다음처럼 나올 것이다.
중요!!!!!!!!!!!!!!!!!!!!!!!!!!
DESKTOP-ABCDE:Name <= 이런식으로 적혀있을텐데 이거를 일단 복사해놓는다.
실제 원격할 때 사용할 데이터기 때문이다.
그리고 확인을 누른다.
다음 처럼 보일텐데, 확인을 누른다.
이제 원격에 접속한다.
옵션 표시 클릭
컴퓨터(c) 에는 아이피(10.11.11.12) 또는 DNS 이름 ( naver.com 과 같은)
그리고 사용자 이름에는 아까 복사한 DESKTOP-ABCDE:Name 를 붙여넣는다.
물론, 원격 데스크톱을 연결할 컴퓨터는 내 컴퓨터가 아니라 다른 컴퓨터다.
다른 컴퓨터에서 원격을 키고 내 컴퓨터에 저장했던 DESKTOP-ABCDE:Name 를 입력하라는 것을 명심해야한다.
또한, 내부망일 경우에는 그냥 접속이 가능하니, 다른 컴퓨터와 내 컴퓨터가 같은 WIFI 나 공유기로 연결되면 안됨.
난 테스트를 위해, 다른 컴퓨터는 내 폰의 하스팟으로, 내 컴퓨터는 공유기와 연결해서 테스트 진행함.
여튼 아래에 입력해서 연결하면 연결 잘 된다. ㅎㅎ
안되면 댓글 달아주면 될 듯..